Elice

엘리스 2일차

공부곤 2024. 6. 25. 10:51

변수(variable) - 데이터(data)를 저장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의해 이름을 할당받은 메모리 공간

 

변수 작명 기본 규칙

1. 대소문자 구분

 - Java는 대소문자 구분

2. 문자 시작

 - 변수명은 문자, $, _로 시작

3. 숫자 사용

 - 변수명에 숫자 사용 가능하지만, 첫 글자 사용 불가

4. 예약어 사용 금지

 - int, class 등의 Java 예약어 사용 불가

 

표기법

 

스네이크 케이스(snake case)

 - 뛰어쓰기 대신 _ 사용

 - 파이썬(python)에서 많이 사용

 

파스칼 케이스(pascal case)

 - 첫글자, 중간글자 대문자로 표기

 

카멜 케이스(camel case)

 - 첫글자 소문자로, 중간글자 대문자로 표기

 

final 키워드 자료형 앞에 사용시 변할 수 없는 값 - 상수

*상수는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해야함*

 

 

정수 자료형

저장 공간의 크기가 각 자료형마다 상이함

int(4) long(8) short(2) byte(1)

 

논리 자료형

true, false 두가지

boolean(1)

 

문자 자료형

char

 

문자열 자료형

문장을 뜻함

String

 

기본형: 실제 값을 저장(int, long, boolean, char 등)

참조형: 메모리 주소를 저장(class, interface, array, String 등)

 

형 변환

값의 데이터 타입을 다른 데이터 타입으로 변경하는 과정

1. 자동 타입 변환

 - 작은 크기의 타입에서 큰 크기의 타입으로 자동 변환

 - 데이터 손실이 없을 때 수행

2. 강제 타입 변환

 - 작은 크기의 타입에서 큰 크기의 타입으로 자동 변환

 - 데이터 손실이 생길 수 있음

 

call by value, reference

 

명시적 캐스팅도 다운캐스팅의 일종?

 

다양한 연산자

- 대입 연산자: 오른쪽의 값을 왼쪽 변수에 대입

- 부호 연산자: 양수 또는 음수를 나타냄

- 산술 연산자: 사칙연산과 나머지 연산

- 증감 연산자: 변수의 값을 1만큼 증가 또는 감소

- 복합 대입 연산자: 연산 결과를 바로 저장

- 관계 연산자: 두 값을 비교하여 참 또는 거짓 값을 가짐

- 논리 연산자: AND 연산자

 

슈도(pseudo)코드

코드의 흐름을 표현하기 위해 일반적인 언어로 코딩 로직을 설명한 것
-> "의사 코드"라고도 부름

 

git: local에서의 git

 

gitlab: 사내용 서버구축 가능

github: 공공적인 repository가 모인 공간